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바이오필름이란? 세균이 만드는 끈적한 보호막의 정체

by 제이 0323 2025. 4. 17.
반응형

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하지만 잘 모르는 과학 용어 중 하나가 바로 **바이오필름(Biofilm)**입니다. 특히 병원 환경이나 위생, 감염 관리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중요한 개념이기도 합니다. 그럼 바이오필름이 무엇인지, 왜 중요한지 쉽게 알아보겠습니다.

바이오필름이란?

바이오필름은 세균이 표면에 달라붙어 서로 뭉치고, 끈적한 물질을 만들어 보호막처럼 덮은 상태를 말합니다. 이 끈적한 물질은 다당류, 단백질, DNA 등이 섞인 것으로, 세균이 스스로 만든 ‘집’ 같은 구조입니다.

예를 들어 욕실 타일 틈에 생기는 미끄러운 물때, 치아에 끼는 플라크(치석), 부엌 싱크대의 끈적한 때 등이 모두 바이오필름입니다.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쉽게 생기고, 잘 제거되지 않아 위생 문제의 원인이 됩니다.

왜 바이오필름이 문제일까?

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면 일반 세균보다 훨씬 강한 생존력을 가지게 됩니다. 특히 문제되는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항생제에 강하다: 바이오필름 안에 있는 세균은 항생제에 잘 죽지 않습니다.
  • 면역세포로부터 보호받는다: 우리 몸의 면역세포도 바이오필름 속 세균을 쉽게 제거하지 못합니다.
  • 만성 감염의 원인이 된다: 폐렴, 방광염, 부비동염 같은 질환에서 바이오필름이 자주 발견됩니다.

어디서 발견될까?

  • 치아 표면: 충치와 잇몸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.
  • 의료기기: 도뇨관, 인공관절, 심장 판막 등에 바이오필름이 생기면 감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  • : 낭성 섬유증이나 만성 기관지염 환자에서 문제가 됩니다.
  • 결핵균도 바이오필름을 형성해 치료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.

어떻게 예방하거나 제거할 수 있을까?

  1. 정기적인 청소와 소독: 욕실, 주방, 병원 등에서는 주기적인 세척이 중요합니다.
  2. 치아 관리 철저히: 하루 2회 이상 양치, 치실, 정기적인 스케일링이 필요합니다.
  3. 의료기기 위생 유지: 병원에서는 의료기기 교체 주기와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.
  4. 신약 개발 연구 활발: 현재는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파괴하는 물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

결론

바이오필름은 단순한 세균 덩어리가 아니라, 세균이 협력해 만든 ‘보호막 구조’입니다. 이로 인해 항생제도 잘 듣지 않고, 다양한 만성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 올바른 위생 습관과 정기적인 관리가 바이오필름을 예방하는 첫걸음입니다.

반응형